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API 문서화 공부하기 - 8 깃북과 마크다운으로 API 문서 정리하기
    API 2022. 7. 11. 20:41

    1 - 7 포스팅을 통해 API에 대해서 공부해보았다.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Surfreport 예시를 이미 익숙한 툴인 깃북과 마크다운 문법으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API가이드를 작성할 때 자주 사용되는 툴로는 Swagger와 앞서 잠깐 살펴보았던 Postman도 있다. 아직 본격적으로 사용해보지는 않았지만 API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언젠가 사용해볼 기회가 있지 않을까?_?


    gitbook

    먼저 깃북에서는 API를 작성할 수 있는 블록을 제공한다. API Method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블록이 생성된다. 이 블록에 입력 값을 입력만 해주면 이제까지 봤던 API문서의 형태로 정리할 수 있다.

    출처: 본인

    요새 깃북을 사용해보고 있어서 깃북을 통해 정리해보려고 했다. 하지만 깃북을 사용하다 보니 다른 툴을 사용해야 되나 고민이 든다. 단락에서 텍스트를 작성할 때는 크게 문제가 없지만 표 또는 API 블록에서 한글이 제대로 입력되지 않는 오류가 발생하고 있다. 😥 검색해보니 한글 입력 시 오류가 꽤 자주 발생하고 있는 것 같다.

    표 입력에서 불편함을 느껴...깃북으로는 매개변수 파트만 간단하게 작성해보았다. 

    출처: 본인

     

    마크다운

    다음은 Atom으로 마크다운을 사용해 작성해보았다. Atom에서는 오른쪽의 미리보기를 제공해 쉽고 편리하게 글을 작성할 수 있다. 마크다운 문법은 아주 쉽기 때문에 조금만 익히면 금방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거기에 html과 css를 곁들인다면 더 예쁘고 보기 좋은 형태의 문서로 정리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테크니컬 라이터 채용공고에도 마크다운+html+css사용경험을 우대하는 경우도 많다. 

    출처: 본인

    마크다운으로 작성한 예시이다. 이전보다 조금 더 다듬어보았고 작성하다 보니 궁금한 점도 많이 생겼다. 틀린 부분도 있겠지만 다른 사이트에서 참고만 하던 API가이드를 직접 작성해보니 어떻게 써야 하는지, 왜 이렇게 써야 하는지를 알 수 있었다. 

    참고로 티스토리에서도 마크다운 형식으로 작성이 가능하지만 일부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다. git 또는 velog에서 보이는 것처럼 예쁘게 마크다운 형식을 적용하려면 추가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미지로 가져왔다. 


    여기까지 하고 나니 튜토리얼을 완수한 것 같다! 앞으로도 공부할게 많다. 🙄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