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담
-
테크니컬 라이터를 위한 6가지 새해 결심과 목표사담 2023. 2. 12. 15:44
이 포스팅은 '7 New Year's Resolutions for Technical Wrtiers'(원문링크)의 포스팅을 번역하고 나는 이제까지 어떻게 공부해 왔는지 되돌아보고 올해 목표 설정 해보려고 한다. 원문 링크의 목표는 2023년에 시도해야 할 7가지 테크니컬라이팅 목표와 역량을 향상하기 위해 염두해야 할 사항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 글은 2022년 12월에 올라온 글이고 1월부터 이 글을 토대로 목표를 세워야지!라고 결심을 했지만 이런저런 일로 이제야 포스팅을 마무리한다.(임시저장한 글만 몇 개인지 모르겠다😂) 1. 테크니컬 라이터 컨퍼런스 참여하기 컨퍼런스 및 기타 업계 이벤트를 통해 테크니컬라이터로 성장을 촉진하고 업계 사람들과 연결될 수 있다. 테크니컬 라이팅이라는 주제만으로는 컨퍼런스를..
-
나도 모르게 자주 쓰는 번역투를 알아보자사담 2022. 8. 17. 22:03
먼저 번역투란 외국어를 우리말로 번역하면서 생긴 표현입니다. 한글로 쓰였지만 묘하게 이해가 되지 않거나 어딘가 문장이 이상하네 라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번역투가 이미 널리 쓰이고 있기 때문에 이상한 점을 모르고 나도 모르게 자주 쓰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나도 모르게 자주 쓰고 있는 번역투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저 조차도 이미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손은 나도 모르게 번역투를 쓰고 있는 경우가 많더군요😯 아마 이 포스팅에서도 나도 모르게 쓰고 있는 번역투가 몇 개 발견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번역투 무조건 틀린 표현일까? 본론으로 들어가기 앞서 그럼 '번역투를 사용하면 어법에 맞지 않는 걸까?'라고 생각한다면 그건 아닙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번역투 표현을 쓰는 것이 어법적으로 '틀..
-
Technical Writer가 UX Writing을 공부하는 이유사담 2022. 2. 28. 20:50
📝UX Writing과 UX 디자인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UX Writing의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고 기술 문서 작성과 사용자 경험은 겹치는 부분이 많음을 느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왜 Technical Writer가 UX Writing을 공부하는지 시너지 효과는 무엇인지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 먼저 기술문서 작성의 목표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동작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테크니컬 라이터가 사실 제일 많이 하는 작업은 글을 쓰는 것보다 자료를 이해하고 취합하는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즉, 개발자나 엔지니어가 작성한 복잡한 문서를 이해한 후에 이를 구조적이고 짜임새 있게 만드는 것입니다. Technical Writing과 UX Writing의 공통점? ..
-
[구글]에서 제공하는 엔지니어를 위한 테크니컬 라이팅 교육 사이트(Technical Writing Courses for Engineers)스터디사담 2022. 1. 9. 20:32
Technical Writing | Google Developers Technical Writing | Google Developers Technical Writing Courses for Engineers developers.google.com 구글에서는 테크니컬 라이터를 위한 교육 사이트를 제공한다. 이 과정은 일반적인 영어 글쓰기가 아니라 기술적인 글쓰기를 위한 가이드나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학생용으로 기초적인 내용부터 담고 있지만 소프트웨어 그리고 영어에 대한 글쓰기가 부족한 나에게는 좋은 공부자료가 될 것 같아 공부해보았고, 개인적으로 작성한 내용을 블로그에 옮겨보려고 한다. IT직군의 테크니컬라이터는 git을 다룰 줄 아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구글 테크니컬라이팅을 정리한 이후에는 gitla..